Surprise Me!

[출근길 인터뷰] '천년 가는 한지'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도전

2024-05-22 6 Dailymotion

[출근길 인터뷰] '천년 가는 한지'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도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견오백지천년', 비단은 오백 년을 가고 한지는 천년을 간다는 말입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 전통 종이 한지.<br /><br />그룹 뉴진스가 한지 알리기에 앞장서면서 세계적으로 한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, 수입 종이에 밀려 어렵게 명맥을 유지해 나가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.<br /><br />그럼에도 한지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뉴스캐스터 연결해 한지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함현지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네, 오늘 이렇게 한지로 만든 부채를 들고 나왔는데요.<br /><br />오늘은 이형호 한지살리기재단 상임이사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이형호 / 한지살리기재단 상임이사]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1000년을 간다는 한지. 우리나라 전통 종이 한지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[이형호 / 한지살리기재단 상임이사]<br /><br />안녕하세요. 한지살리기재단 상임이사 이형호입니다.<br /><br />우리에게 한지는 한옥, 한식, 한복처럼 한국의 문화적 전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전통 종이입니다.<br /><br />닥나무에서 채취한 껍질을 100번의 제조 과정을 거치기에 백지라고도 합니다.<br /><br />한지는 구전과 기억에서 기록과 역사를 있게 한 기적의 메모리칩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이 반도체 강국으로서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데 한지와 반도체는 저장성과 효자 수출 종목으로서의 공통점이 있고 한지가 없는 삶이라는 것은 현재로 보자면 스마트폰이 없는 생활에 비유될 수가 있다고 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한지가 어떻게 1000년, 2000년을 갈 수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[이형호 / 한지살리기재단 상임이사]<br /><br />한지가 1000년을 견디는 비밀 또는 비결은 원료와 제조 과정에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립 산림과학원의 연구에 따르자면 1000년을 견딘 한지는 실제 2000년 이상을 견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닥나무에서 채취한 닥 섬유가 질기고 견고하고 강합니다.<br /><br />그 닥섬유를 재료를 활용해서 삶아내면서 불순물을 제거해서 중성화를 시키고 그것을 분쇄한 이후에 자연성 재료인 황촉규 닥풀을 활용해서 한지를 뜰 수 있는 용액을 만들고 한국의 전통 기법인 외발뜨기로 해서 용액의 닥섬유를 씨줄과 날줄을 교차시켜서 굉장히 견고하게 만납니다.<br /><br />마지막으로 1장, 1장 뜬 한지를 켜켜이 겹쳐서 골고루 펴서 다지는 도침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희고 가볍고 질기고 쇠보다도 오래가는 한지가 탄생되게 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런데 중국의 선지, 일본의 화지는 이미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가 됐는데 아직 우리나라의 한지는 등재가 되지 않았습니다. 그 이유가 뭐라고 보시나요?<br /><br />[이형호 / 한지살리기재단 상임이사]<br /><br />중국의 선지가 2009년, 일본의 화지가 2014년에 등재되었습니다.<br /><br />아쉽지만 그래도 한지살리기재단 이배용 이사장님 그리고 노영회, 최연사, 신탁근, 박성진 이사 등이 2021년 4월 한지 유네스코 등재 추진단 발대식을 기점으로 해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순조롭게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성파 종정회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, 그리고 최응천 국가유산청장 등의 관심과 지원으로 작년 4월에 유네스코 등재 신청 대표 목록으로 선정이 되었고 금년 4월 유네스코 본부에 신청서류가 제출되었습니다.<br /><br />2026년 12월에 심사 결과가 발표되고 등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우리나라 전통 종이 한지를 세계에 널리 알리고 명맥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시나요?<br /><br />[이형호 / 한지살리기재단 상임이사]<br /><br />한지가 잘 보존 계승되려면 우선적으로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 재배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공급이 확대되어야 됩니다.<br /><br />그런 차원에서 얼마 전 5월 9일 안동에서 닥나무 재배 농업의 세계 중요 농업 유산 등재를 위한 세미나가 한지살리기재단 주체로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가 제대로 공급이 되어야 되고 한지를 뜨시는 장인과 한지 공동체가 잘 보존이 되어야 됩니다.<br /><br />아울러 정부 차원에서의 수요 확대를 위한 협조와 협력이 필요한데 문화체육관광부, 행정안전부, 농림축산식품부, 문화재청과 관계 기관들의 협조와 협력이 필요하고 한지의 표준화와 품질 인증제 등등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아울러 조지소 복원 그리고 한지대선 제작 등 정책적인 추진도 필요하고 무엇보다도 국민들이 관심이 한지를 잘 보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을 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말씀 고맙습니다.<br /><br />[이형호 / 한지살리기재단 상임이사]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(함현지 캐스터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